본문 바로가기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정보마당 >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상세보기 - 호수, 제목, 내용, 파일, 년도, 월 제공
호수 201
제목 일본의 자원 · 환경 직접지불제 개요
내용 정부는 2005 3 향후 10년간의 농정운용 지침인 식료·농업·농촌기본계획 (기본계획) 결정하였다. 여기 에서 중요한 내용은 농정개혁을 가속화 하기로 하고, 향후 일본 농정에서 소위 자동차의 바퀴에 해당되는 직접지불정책으로서 농가단위 소득지원제도 와 농지·물·환경 보전향상대책(지원· 환경 직불제) 전면적으로 실시하 기로 하였다.

자원·환경 직ㅈ불제는 DDA 이후 관세 인하 국내보호 감축에 대비하여 구조개혁을 가속화하고, 국토 ·자연환경보전, 양호한 경관형성, 문화계승 농업· 농촌이 가지는 다원적 기능의 유지·발휘에 정책의 중점을 두고 2007년부터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도입목적

자원·환경 직불제는 농지· 농업용수 농업자원과 농업생산 환경을 보전하거나 향상하는것이 직접적 인 목적이다. 기본계획에서 는 농지·농업용수 자원보전정책과 환경보전형 농업생 산정책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는 자원보전과 환경보 전이라는 가지 정책영역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하고, 이를 지역단위로 추진하는 방식이다 .

제도의 개요

제도는 지역에서 농업자원과 생산환 경 등의 양호한 보전과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다음 가지 활동에 대하여 지원을 하는 것이 골자이다 .

농지·농업용수 자원보전을 위한 지역 단위의 공동 활동

농가단위의 환경보 전을 위한 선진적인 농활동

이러한 활동의 질적인 측면을 더욱 높인 추가활동 등에 대하여 직접지불을 포함 지원하는 제도이다.

공동 활동지원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 고 다원적 기능을 발휘하는 기반이면서 사회간접자본인 농지 · 농업용수 등의 자원을 장기적으로 적절히 전하고 ,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공동 활동 하는 경우에 일정한 지원을 한다 . 이러한 공동 활동을 행하는 지역단위의 활동조 직이 지원대상이 된다.

공동 활동의 지원단가

단가 (/10a)

도부현

홋가이도

4,400

3,400

2,800

1,200

초지

400

200

: 국가 와 지자체가 각각 50% 부담

영농활동 지원

영농활동에 대한 지원은 농업생산 활동에 환경에 대한 부하를 대폭 경감하기 위하여 선진적으로 추진하 는 활동에 대하여 지원하는 것이다 . 지원대상 지역은 공동 활동을 실시하 지역에서 계획적으로 환경보전을 실시하 는 지역이 대상이 된다.

지원수준은 화학비료나 농약 50% 절감 등을 실시하고 있는 농가의 경영상황을 조사 , 결과를 근거로 국가나 지자체의 역할 분담, 농가의 자구노력 등을 감안하여 설정한다 .

향후 추진방향으로서 지역에 서 일정 규모를 대상으로 환경부하 경감활동에 의해, 환경 부하의 대폭적인 경감 상당 수준의 환경 보전효과를 기대할 있고 , 퇴비 확보나 과적인 페로몬제 이용 효율적인 활동이 가능하며 , 환경보전에 공헌하 는 유기·친환경 농산물의 산지형성과 브랜드화 등을 기대하 있다 .

추가활동 지원

추가활동 지원은 앞에서 언급한 가지 동을 더욱 촉진·보강하여 이러한 활동을 그레이드하기 위하여 협정에 근거, 지역에서 보다 고도의 활동을 실천하는 경우에 지원한다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휴경지 복구, 중요 식물 보전·재생, 하류 지역의 지하수 함양, 조직의 NPO(비영리조직) 법인화 활동 지역의 확산과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 지역단위로 촉진비를 활동조직에 지원한다.

특히 선진적인 활동을 실천하는 지역을 가하여 전시효과를 창출하 는 체제를 구축한다 .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2006년도로 예정된 시험사업 등을 활용해 상세한 내용을 검토한 다는 계획이다 .

특징 문제점

자원·환경 직불제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농업구조를 실현하는데 불가결 한 기반인 농지와 농업용수 사회간접자본으로서의 농촌자원과 여기에서 행해지는 영농활동을 지원하는 지역진흥정책 으로 위치하는 것이다 . 지원대상도 전업농 을 포함하여 지역공동체가 대상이 된다 .

또한 평지지역은 물론 중산간지역도 대상으 로 하여 자원의 보전활동에 대한 지원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현재까지의 제도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지나치게 국가 주도로 정책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 또한 지역단위가 중시되는 경우 농가단위의 개성이 매몰되어 버리는 것도 문제로 지적할 있다.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파일
년도 2005
2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22.12.08